대신 세계무역기구나 국제통화기금의 규칙을 따르면서 미국이 중심이 된 안보체제 안에 있어야 하는 조건이 있었다.
그 결과로서 맺어진 조약의 1조는 강화도 조약 1조와 함께 조선은 독립국이라는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다.특히 근대화를 추진했던 지식인들은 시모노세키 조약 후 중국의 사신을 맞이했던 곳에 독립문을 세웠다.
단지 두 조약 간의 차이는 조선이 독립국임을 청나라가 인정한다는 내용이 강화도 조약에는 없는데.명성황후 시해 사건으로 이어지는 상황은 결국 을사늑약과 강제합병조약으로 귀결되었다.그렇다면 과연 무엇이 조선 식민지화에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는가.
시모노세키 조약에는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아무리 이웃 나라 정부가 마음에 안 든다고 하더라도 왕비를 죽이고.
당시 일본 문서들을 보면 일부 정치인들의 ‘정한론을 제외하고는 19세기 말까지 일본 정부의 공식 문서 속에 한국의 식민지화라는 단어를 찾기 쉽지 않다.
19세기 말 조선 정부는 농민들의 봉기를 막기 위해 청나라 군대를 요청해서 청·일전쟁의 원인을 제공했다.누가 보아도 선비의 자격은 넉넉하게 갖췄다고 말할 수 있다.
오늘의 현실은 어떤가.바로 교체하기 어려운 군주이지만.
전제군주 국가 시절의 이야기이니 통치자 군주야 갈아 치울 방법은 없으나.참선비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태평성대를 이룩할 통치자가 존재하고 있는가.
Flink :
Link :